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영어자료정리

prospect/chance/probability/odds/likelihood/possibility 차이

by 영어사전 2024. 6. 3.
반응형

 

 

prospect/chance/probability/odds/likelihood/possibility 차이
prospect/chance/probability/odds/likelihood/possibility 차이

 

 



<prospect>


: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을 때 사용

: 미래에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는 기회/전망을 의미함.
: 복수형(prosepcts)으로 쓰였을 때는 좋은 것을 성공할 가능성 및 기회를 구체적으로 의미함.

: Chance보다는 격식있는 의미)
: is used to describe the chance that something good will happen in the future, or the idea that something good might happen.  = 좋은 것이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는 기회를 설명하거나 좋은 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생각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됨.

: When used in the plural, prospects refers specifically to the chance that someone succeeds in doing something positive. = 복수형으로 사용되어 prospects로 사용될 때는, 누군가가 긍정적인 것을 성공적으로 행할 기회를 구체적으로 말함. 

: Both prospect and prospects are slightly more formal than chance. = prospect와 prospects 모두 chance보다는 격식있는 의미임. 


ex) prospective teachers = 미래의 예비 교사들
ex) Is there any prospect of the weather improving? = 날씨가 좋아질 추호의 가능성도 없나요?
ex) The prospect that she will write another novel fills me with joy. = 그 사람이 또다른 소설을 쓸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를 즐겁게 했다. 
ex) His prospects for getting signed to a team are good. = 그 사람이 팀에 입단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좋다. 

 



<chance>


: 어떤 일이 일어나건 안일어나건 상관없이 [기회]라는 의미로 사용됨.
: 복수형으로 사용될 때는, 보통 형용사의 수식을 받지 않음.
: is used in phrases like a slight chance or a good chance to describe the level of how likely it is that something will or won't happen. = a slight chance(약간의 기회)라던가 a good chance라는 구문등을 사용해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 일어나지 않을 것인지 그 정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됨.   


: When chance is used in the plural, it is usually not modified by an adjective. = 복수형으로 사용될 때는 보통 앞에 형용사가 오지 않음.


ex) There's a good chance he'll resign. = 그 사람이 사임할 좋은 기회가 있다.

ex) What are the chances she'll show up late? = 그 사람이 늦게 나타날 가능성이 뭐냐?
ex) Any chance I can borrow a pen? = 내가 펜을 빌릴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나?
ex) He didn't stand a chance of winning. = 그 사람은 이길 가능성을 염두해두지 않는다. 

 



<probability>

 


: chance보다 수학적인 개념처럼 좀 더 정밀한 가능성을 의미함.

  (즉, 수치나 숫자와 관련되어서 얘기할 때 사용가능함)
: Chance보다 더 formal하고 더 technical 한 의미임.
: 보통 일어나지 않는 것보다 일어날 가능성이 높을 때 쓰는 단어임. 
: [문장구조] a/the probability of N: N할 기회, 확률
: Probability comes from mathematics,  =  probability는 수학에서 나온 단어이다.

: so it is more technical and more formal than chance. = 그렇기에 chance보다는 좀 더 기술적이고 격식 있는 단어이다. 
: It is used more to describe things that might happen instead of things that might not happen. = 일어나지 않을 일에 대해서 보다는 일어날 일에 대해서 묘사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ex) What's the probability of winning? = 이길 확률이 얼마정도 되냐?
ex) There's a high probability of us having moved house by then. = 그 때쯤이면 우리가 이사 갈 확률이 높다. 

 

 


<odds>

 


: 복수형으로 쓰이며, 보통 확률을 나타낼 때 사용함
: Odds is sometimes used to express the chance that something will happen using numbers. = 수를 사용해서 무언가 일어날 기회를 표현하는 데 사용됨.
: Odds is always used in the plural. = 항상 복수형으로 사용됨.

ex) Unanimous agreement is still theoretically ideal, especially in cases when you would expect very low odds of variability and uncertainty, but in practice, achieving it in situations where perfect agreement is highly unlikely should tell us that there's probably some hidden factor affecting the system.

만장일치 합의는 여전히 이론적으로 이상적이며, 특히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완벽한 만장일치가 거의 일어나기 힘든 상황 속에서 만장일치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우리들에게 아마도 그 시스템에 영향을 끼친 무언가 숨겨진 요소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ex) What are the odds that she takes him back? = 그 여자가 그 남자를 다시 데려올 확률이 어느정도인가?


ex) The odds of being struck by lightening are 1 in 700,000 (= one out of every 700,000 people has the chance of being struck by lightning). = 번개에 맞을 확률은 70만 분의 1이다. 

 

 


 

<likelihood>

: 일어나던 일어나지 않던 상관없이 가장 포괄적으로 쓰는 표현, 경향, 가능성
: 보통 앞에 동사나 형용사를 붙여서 어떤 가능성인지(증가하는 가능성인지, 감소하는 가능성인지)등을 설명해 주는 문장구조를 가짐.
: [문장구조]=주어+동사+(형용사) + likelihood + that +주어 + 서술어
: Likelihood is used to talk in very general terms about whether there is a chance that something will happen or not. 

ex) The treat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cease-fire will hold. = 그 조약은 휴전이 유지될 가능성을 높인다.
ex) There's every likelihood that he'll graduate university on time. = 그 사람이 제 시기에 대학교를 졸업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 there's every likelihood = The phrase "there is every likelihood that" is correct and usable in written English.You can use it to discuss the chance of something happening, especially something positive.

For example: "There is every likelihood that our team will end up in first place by the end of the season.


 


<possibilitiy>



: 일어나건 일어나지 않건, 가장 포괄적으로 쓰는 단어
: it may happen or it may not. Possibility has the broadest meaning of all these words.

ex) There's a distinct possibility I won't be able to make it to the pub tonight. = 오늘밤에 술집에 갈 수 없을지도 모를 분명한 가능성이 있다.
ex) There's a possibility that my flight will be delayed. = 내 비행기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prospect/chance/probability/odds/likelihood/possibility 차이 총 정리>

 

 

  단수 복수
chance 기회 (형용사 수식 안받음) 기회
prospect 기회, 전망 좋은 것을 성공할 가능성
likelyhood (앞 뒤로 형용사가 붙음) 경향, 가능성
possibility 가능성
odds x (복수형으로만 사용) 확률
probability 수와 관련된 가능성, 수치, 확률

 

반응형